김경수 선로이야기

철도선로의 잡다한 이야기 블로그입니다.

김경수 선로이야기 자세히보기

분류 전체보기 847

분니의 원인과 예방작업

김경수 선로이야기 (tistory.com) 분니의 발생 원인과 예방작업 [분니원인] 노반 토와 도상 내 혼입된 토사가 우수 또는 지하수, 열차하중과 충격 때문에 세립화되어 열차 통과 시 펌핑작용으로 도상 표면으로 분출되는 현상을 "분니"라 한다. 분니는 노반 토사와 도상 내 토사의 분출로 궤도침하가 발생하고 건조되면 도상 고결 현상으로 궤도 탄성 저하와 궤도틀림을 유발한다. 이러한 분니의 원인은 도상 불량에 의한 것이 있다. [노반분니] 노반토가 점토와 같이 투수성이 적은 흙으로 되어 있을 때 우수와 지하수에 의해 흙의 함수비가 높은 상태에서 열차하중이 작용하면 노반토는 도상의 간극을 따라 상승 분출되고 열차하중이 없어지면 도상은 공동이 되어 새로운 세립토를 빨아올린다. 이와 같이 열차하중이 반복될 때 ..

기적표(汽笛標, whistle post)  

기적표(汽笛標, whistle post) 건널목,교량,급곡선 선로에 대하여 열차의 접근을 알려 통행인에게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표지로서 열차진행 방향으로 400 m 이상 전방 좌측에 세운다. 제248조(기적표지) ① 건널목ㆍ터널ㆍ교량ㆍ깎기비탈 및 곡선 등으로 전도인식을 할 수 없는 지점으로서 특히 기적을 울릴 필요가 있는 지점에는 기적표지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기적표지의 설치위치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1. 400m 이상 거리의 열차로부터 인식할 수 있을 것 2. 기적을 울릴 필요가 있는 장소 전방에 설치할 것 3. 부득이한 경우 이외는 열차 진행방향 선로 좌측에 설치할 것

기본레일(基本레일, stock rail, line rail datum rail)

기본레일(基本레일, stock rail, line rail datum rail)   분기기의 포인트부를 구성하는 주요한 레일이다. 텅레일이 밀착하는 레일로 포인트부에서는 레일 브레이스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고속용 분기기의 기본레일은, 텅레일 선단부분의 마모나 손상을 적게하기 위하여, 텅레일의 접촉하는 부분의 두부하..

단성역 중앙선 개통지점

중앙선의 마지막 개토이점인 충북 단양군 단성역 기념비 [비 문 해 석] 중 앙 선 개 통 지 점 서기 1942년 2월 7일 중앙선의 선로건설은 이지점에서 남북의 접속이 이루어져 그 전통을 봄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중앙선의 대부분인 청량리~경주간 중앙선 건설사업은 1936년에 기공한 후 시한과 天險(천험)을 극복하여 공사를 진척시켜 남북 양방면으로부터 점차 運輪(운윤)영업의 개시를 보았다 그리하여 최종건설구간인 제천~영주간 선로는 본 비의 전방 즉 충북단양역(폐단양역)으로부터 동남방 620미 57리의 지점에서 그 全通(전통)을 이루게 되었다. 이에 여기 그 기념 비를 건립한다. 서기1942년 중춘 안동건설사무소 본 비는 현 위치에서 동남방 150미 지점(경기현 183천 640미, 표고 145미 57리)에 위..

처서

처서/김경수 모기입도 삐뚤어진다는 처서 철가치도 녹여내릴듯한 무더운여름도 밀려가고 가을 문턱 12층아파트 세벽공기는 아침잠을 깨운다. 선로보수를 하는 시설관리원의 발거름도 빨라진다. 연일 폭염주의보 경보가 발령되는 여름 선로위에서 우리시설관리원은 땀을 함줌씩 훔쳐내며 선로를 지켜 왔고 이제 또 겨울을 나기 위한 준비에 바쁘다. 님의향기 밤새 가을바람 잠을잔듯이 조용한 바람인듯 눈을 감으면 님애 모습인가 향기인듯한 생각애 눈시울 적셔봄니다 이별이 안인대도 님이떠난후 텅빈가슴어쩔수업소요 견디기 힘든 아품만 까맣케태워버린밤 너무 허전해 뜨거운가슴으로 길를나서도 막상 갈곳이없소요 못다준 사랑애 아쉬움이 가슴애 남아잇는대 오직 그대곁애 머물고잇는 사랑하는 내마음 사랑하는내마음 https://youtu.be/_58..

궤광(軌광, track panel, track frame track span, track skeleton) 

궤광(軌광, track panel, track frame track span, track skeleton) 레일에 침목을 체결한 것으로 사다리 모양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것. 궤광갱신작업(軌광更新作業, renewal work of track panel) 선로 보수 방식중 궤광을 새로운 궤광으로 바꾸는 작업으로 정기수선 방식으로 할 경우 일정주기 마다 궤광전체를 교환하는 작업.

곡선표(曲線標, curve post)

곡선표(曲線標, curve post) 차량이 곡선부 궤도를 주행할 때 기관사가 곡선 반경에 규정된 속도로 운전할 수 있도록 궤도의 곡선 시종점에 세우는 표지의 일종이다. 표면에 곡선반경을 표시하며 이면에 Cant 및 slack 을 기입한다. 선로유지관리지침 제128조 (곡선표의 종류와 설치) 곡선표는 선로외방(좌측)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복선구간은 양방향에 설치하여야 한다. 선로부수자료집 곡선표 재작 및 건식요령 운전취금규정 제245조(곡선예고표지) ① 곡선표지 설치지점 300m 이상 지점의 선로 좌측에 곡선예고표지를 다음 각 호에 따라 설치하여야 하며, 터널이나 교량 등으로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바깥쪽 적당한 지점에 설치할 수 있다. 1. 경부ㆍ호남선의 곡선반경 400m~1200m 각 구간..

예초기

철도선로 노면 또는 비탈면 풀깍기용 장비 1. 일반 예초기는 등부착부(엔진)와 플렉시블샤프트부(동력전달부), 손잡이부 3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2사이클 엔진이다. 2. 연료사용 휘발유와 2사이클 엔진오일을 20:1로 혼합하여 사용. 휘발유 20ℓ 와 2사이클 엔진오일 1ℓ 3. 사용방법 3-1. 엔진이 냉각상태 시(처음작업 시) ① 쵸크레바를 닫힘 상태(CLOSE)에 위치한다. ② 캬브레타위의 고무펌프를 3~4회 펌핑(PUMPING)합니다. ③ 시동줄의 손잡이를 꼭 잡고 1~3회 힘껏 당깁니다. ④ 엔진이 시동된 후 악세레바를 공회전 상태로 놓아둔 후 쵸크레바를 열림 상태(OPEN)에 위치합니다. ⑤ 작업전 엔진이 적당한 온도로 가열(예열)되도록 2~3분 동안 작동한 후 작업합니다. 3-2. 엔진이 예열..

카테고리 없음 2008.08.18

레일천공기

철도선로 레일교환작업시 레일을 연결 체결을 위한볼트구멍 천공장비 1. 일반 레일 이음매 부분, 분기등 모든 천공 작업 시에 사용하는 장비로 공랭식 2싸이클 휘발유 엔진이다. (본 설명은 E200-RC 기준) 2. 사용방법 2-1. 가늠자의 위치 ① 천공할 레일의 끝에 가늠자를 올려 놓는다. ② 가늠자의 수직과 정확한 천공 위치를 맞추기 위하여 보조판을 움직여 레일 단면에 맞춘다. ③ 손잡이를 돌려 가늠자를 고정시킨다. 2-2. 천공기 설치 및 클램프 고정방법 ① 코아날이 레일에 걸리지 않게 핸들을 돌려 코아날을 뒤로 이동시킨다. ② 클램프 손잡이가 몸쪽으로 향하게 하고 레일에 임의로 장착한다. ③ 원하는 가늠자 위치의 홈에 좌측 혹은 우측의 가늠자 고정 바늘을 내려 홈에 맞춘다. ④ 통합레일 지그를 레일..

레일절단기

철도선로 레일교환 작업시 레일을 절단하는장비 레일절단기는 필요에 따라 긴급히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도 선로현장에서 고속회전으로 레일을 절단 사용함으로 고장으로 작동이 안되거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요령을 잘 습득하고 특히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숙련된 기술자 만이 사용을해야 한다. 사전에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 1. 일반 1-1. 레일절단기는 엔진부와 점화장치, 조작부, 손잡이와 작업부로 나뉘어져있다. 1-2. 단기통 2싸이클 엔진이며 점화장치는 무단락점화 자력점화를 채택하고 있다. 2. 조작방법 2-1. 시동 ① 시동시 절단기를 바닥에 수직으로 놓고 혹시 절단 원마판이 다른물체나 바닥에 접촉해서는 안되며 연마기 회전부에 접근통제 필요. ② 과냉된 엔진은 시동플립이 닫힌 상태에서 시동하며 작..

고정축간거리(固定軸間距離, rigid wheel base) 

고정축거(固定軸間距離, rigid wheel base) 둘 이상의 차축을 갖는 불요성 대차에 장치된 일군(一群)의 고정축중 최전위의 것과 최후위의 것과의 차축중심간의 수평거리. "고정 축간거리"는 일반적으로 궤간보다 작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 철도차량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53조(고정축거)에서는 4.50 미터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축간거리의 고정축거 대차 철도차량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시행 2014. 3. 19.] [국토교통부령 제81호, 2014. 3. 19., 타법폐지] 국토교통부(철도기술안전과), 044-201-4601 철도차량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은 이를 폐지한다. 펼침 부 칙 (철도안전법 시행규칙) 부칙보기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2014년 3월 19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고망간 크로싱(高망간鋼크로싱, high manganese steel crossing)

고망간 크로싱(高망간鋼크로싱, high manganese steel crossing) 보통레일로 된 크로싱은 노스레일 선단부에 차륜이 격돌하여 심한 마모로 수명이 단축되므로 보통레일 보다 망간성분을 높여 수명 연장을 강구한 크로싱이다. 내마모성이 강하여 보통레일로 만든 크로싱보다 수명이 5배 정도 된다. 균열의 진행은 극히 느리며 대부분의 균열은 용접수리가 가능하다. 주강의 단일체이므로 차량동요가 적고 보수 노력이 절약되고 내구년한이 길어 중요선에 사용된다.